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융의 분석심리이론과 개념

by 아트블라썸 2022. 7. 1.

 

 

1. 융의 분석심리학

카를 융이 창시한 심층 심리학이다. 무의식을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으로 나누고, 집단 무의식 속에 고태형을 가정한다. 꿈이나 신화의 분석을 통하여 무의식인 내용을 의식화하는 과정을 중시하였다. 흔히 통상적으로 융 심리학이라고도 불린다. 

 

컴플렉스의 현상을 연구한 융은 언어연상실험 등을 통해서 심층 심리의 해명을 지향해 당시 정신분석을 제창하던 빈의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알프레트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으로부터 주요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또한 칼 융은 인간의 무의식에관해 프로이트나 아들러 어느 한쪽보다는 이둘을 더 폭 넓게 심층적으로 작업하였다. 융은 프로이트가 평생을 통해 주장한 심리의 성적 발달과 인생초기에 성격이 결정된다는 결정론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정신에 대한 분석을 주관적 체험과 현상학을 바탕으로 하는 아들러의 사회심리적 요서를 균형있게 체계화하려고 노력하였다. 한편 융은 리비도의 개념을 종래보다 깊게 폭넓은 의미로 다시 정의 하며 프로이트와 결별해 집단적 부의식의 존재를 제창하는 과정에서 이의 원형의 개념이 신화학, 민속학, 문화인류학 등의 연구와 연관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비교적 구애받지 않는 심층심리이론을 구성하려는 작업을 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2. 융 심리학의 기본개념

 

언어연상실험

 

초기의 융의 연구 속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심층심리학의 연구자로서의 융을 세상에 주지한 것은 1904년에 발간된[연상실험]에 관한 논문이었다. 

 

언어의 연상에 의해 무으ㅢ식의 내용을 의식화해, 이해하는 시도는 프로이트의 자유연상에 이미 볼 수 있지만, 융은 일련의 극히 간단한 단어를 준비해, 피험자에게 연상받아. 아울러 걸리는 시간을 측정, 다시 처음부터 끝까지 체크하고, 평균적인 응답과[특수한 응답]의 차이를 부조로 했다. 융은 후자의 반응을 무의식의 컴플렉스와 관련 지었지만,[연상실험]은 단어나 시간의 측정 수치, 재현성의 유무라는 구체적인 데이터가 제시되어 한편 통계적인 비교가 이루어져 객관적으로 과학적인 가치를 가졌다. 

 

컴플렉스의 개념

 

응답의 시간의 차이가 생기거나 부드리운 재생을 볼 수 있는 자극어를 상세하게 조사해 갈 때 융은 자극어가, 피험자 자신에게도 의식되지 않은, 무엇인가의 감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면밀한 연구 뒤, 융은 피험자의 마음에는 의식되지 않은 감정과 관념의 복합체가 존재해, 이 복합체에 저촉하는 자극어가 제시되었을 때 응답의 시간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확인 했다, 

 

3)심리적 에너지의 방향성과 성격 유형

 

자아는, 그 관심을, 주위의 환경인 [외적 세계]로 향하는 경우와 마음의 세계인 [내적 세계]로 향하는 경우가 있다. 주로, 행위의 동기를 외적 세계로부터 꺼내는 사람과 내적 세계로부터 꺼내는 사람에서는,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 나아가서는 자아의 있는 그대로 차이가 존재해, 여기로부터 두 개의 성격 유형이 나뉜다고 여겨졌다. 

 

외향형

내향형

 

심리적 에너지의 방향성과는 별도로, [마음의 기능]유형이라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 그것은 합리적판단기능과 비합리적 기능의 두개로 분류된다. 전자는 한층 더 [사고]와 [감정]에, 후자는 한층 더 [감각]과 [직관]에 나누어지기 때문에, 합계 4종류로 나뉜다. 개인은, 그 정신 활동에 대해, 언젠가 하나의 심리적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4종류의 심리적 기능에 의한 성격 유형을 생각 할 수 있다. 또한, 내향, 외향의 심리적 유형과 합쳐져, 합계 8종류의 심리적 유형,성격 유형이 성립한다. 

합리적 기능은 사고형(외향/내향), 감정형(외향/내향)으로 나뉘고 비합리적 기능은 감각형(외향/내향) 직관형(외향/내향)으로 구분 된다. 

한층 더 주요 기능을 보완하는 것으로서의 보조 기능이 있어, 주요 기능과는 반드시 다른 분류에 속한다. 예를 들어 주요 기능이 비합리적[감각]인 경우, 보조 기능은 합리적[사고]나 [감정]의 어느 쪽이 된다. 주요기능도 보조 기능도 아닌 기능은, 본인의 것이라고 자각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투영되는 경향을 가진 열등기능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우월기능이 외향이면, 열등기는은 내향이 된다. 또 건설적인 우월기능에 비해, 열등 기능은 자주 파괴적인 경향을 가진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