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분석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발달이론

by 아트블라썸 2022. 9. 5.

1)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에 따르면, 어린 영아는 어떤 것이든 대상을 물고 빨고 우물거니느 것으로 부터 만족을 이끌어내는 구강적 창조물이며 구강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애착하게 된다. 음식을 줌으로써 구강 영아에게 즐거움을 주는 사람은 대개 어머니이기 때문에, 아기의 안전과 애정의 일차 대상이 어머니라는 것이 프로이드에게는 논리적인 듯 했다. 음식을 줄 때 이완되고 너그럽게 한다면 특히 그렇다. 

 에릭슨도 어머니가 음식을 주는 것이 영아들의 애착의 강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그러나 자녀의 욕구에 대한 어머니의 전반적인 반응성이 음식을 주는 것 자체보다도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에릭슨에 따르면, 영아의 모든 욕구에 일관되게 반응하는 양육자는 타인에 대한 신뢰를 육성하게 된다. 반면 무반응적이고 일관적이지 못한 양육자는 불신감을 갖게된다. 영아기 동안 양육자를 신뢰하는 것을 배우기 못한 아동들은 일생동안 친밀한 상호 신뢰 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음식과 애착에 대한 연구들을 알아보기 전에, 음식의 중요성을 가종하는 또 다른 관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인지주의 학습이론 

  다른 이유에서, 몇 학습이론가들도 영아가 음식을 주고 그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사람에게 애착 된다고 가정했다. 음식을 주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 특히 중요하다. 

 첫째, 음식은 아기에 대한 양육자의 애정을 증가시키는 미소나 웅얼거림과 같은 영아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시킨다. 둘째, 어머니들은 영아에게 음식을 주면서 음식, 따듯함, 부드러움 접촉, 부드럽고 안심이 되는 말들, 장면 변화, 필요한 경우에는 마른 기저귀와 같은 많은 편안함들을 한자리에 제공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영아들은 즐거움이나 행복 유쾌한 감각들과 어머니를 연합하게 되고, 이제 어머니 자체가 가치 있는 상품이 되는 것이다. 일단 어머니나 다른 어떤 양육자가 이차강화인으로서의 지위를 갖게 된다면, 영아는 애착된다. 영아는 양육자의 주의를 끌거나 가치 있고 보상적인 개인 가까이에 남아있기 위해 필요하다면 미소, 울음, 구구구구소리, 웅얼거림 등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음식을 주는 행동은 얼마나 중요할까? 1959년 harry harlow 와 robert zimmerman은 새끼 원숭이의 애착 발달에서 먹이와 촉각 자극의 중요성에 대해 비교한 연구의 결과를 발표했다. 원숭이들은 생애 첫날 어미로부터 분리되었고 두 대리어미에 의해 이후 165일 동안 양육 되었다. 각 대리어미는 얼굴과 철사로 된 균형 잡힌 몸체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한 어미의 몸체는 기포 고무로 감싸여져 테리 천으로 덮혀져 있었다. 새끼 원숭이의 절반은 항상 이 따뜻하고 편안한 헝겊어미가 먹이를 주었고, 나머지 반은 다소 불편한 철사어미가 먹이를 주었다. 

 연구문제는 간단하였다. 새끼원숭이들은 먹이를 주는 어미에게 애착된 것인가 아니면 부드럽고 껴안고 싶은 헝겊어미를 선호할 것인가?경쟁이 안 되었다. 음식이 철사 어미로부터 나올 때조차, 새끼원숭이들은 먹이를 먹는 동안만 철사 어미와 함께 시간을 보냈고 혼란스럽거나 무서워질때면 곧바로 헝겊어미에게로 달려갔다. 모든 새끼 원숭이들은 헝겊어미에게 애착이 되었다. 이것은 접촉위안이 먹이를 주는 것이나 굶주림의 감소보다 원숭이의 애착에 더 강력한 이여자임을 시사한다. 

 분명히 음식은 새끼원숭이에게 만큼 인간 영어아게도 중요하다. Schaffer와 emerson(1964)은 어머니들에게 규칙적 간격 대 필요할 때 음식주기와 같은 음식스케줄과 영아를 이유했던 연령에 대해서 물었을 때, 음식 주는 것의 관대함이 영아의 애착의 질을 예측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실제로 영어 중 39%에게 있어, 일상적으로 음식을 주고 목욕을 시키고 옷을 갈아입히는 사람은 일차 애착대상이 아니었다.

 음식을 주는 것이 원숭이나 인간에서 애착에 대한 일차 기여자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습이론가들은 강화가 사회적 애착을 설명하는 기제임을 끊임없이 주장한다. Erik erikson의 관점과 유사한 개정된 관점에 따르면, 영아는 자신의 모든 욕구들에 재빠르게 반응하고 다양한 즐겁고 보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모든 사람에게 애착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schaffer와 emerson은 애착의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두 가지 어머니 행동의 측면을 발견했는데, 영아의 행동에 관한 반응성과 어머니가 제공하는 자극의 총량이었다. 어머니가 주목을 끌려는 영아의 요구에 대해 신뢰롭고 적절하게 반응하고 아기들과 자주 놀아주면, 영아는 그들에게 긴밀하고 가깝게 애착 되었다. 

 

3)인지주의 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은 어떤 성인들이 영어들에게 제일 호소력이 높은지에 대해 말하지 않으며, 애착을 형성하는 능력은 부분적으로 영아의 지적 발달수준에 달려있다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발달의 총체적특징을 우리들에게 일깨워 준다. 영아는 친숙한 동료를 낯선 사람과 구분한 후에야 애착을 형설 할 수 있다. 또한 친숙한 동료들이 영속성을 가졌음을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왜냐하면 눈길을 돌릴 때 마다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안정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애착이 7~9개월에 처음 나타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때는 정확하게 영아가 피아제의 감각운동 4번째 하위단계에 들어가는 시기이며, 그들이 처음으로 누군가가 숨긴 대상을 찾고 발견하는 시점이다. 

Barry lester와 동료들(1974)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9개월 된 영아에게 대상영속성 검사를 실시한 후 여아들을 어머니, 아버지, 낯선 사람들과 잠깐 동안 분리시켰다. 대상영속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4단계이상)9개원 된 영아는 어머니와 분리시켰을때만 저항한 반면, 낮은 점수를 받은(3단계이하) 동년배는 어떤 분리에도 저항하지 않았다. 즉 인지적으로 발달한 9개월 된 영아들만이 어머니에 대해 일차 애착을 형성한 듯했으며, 이것은 중요한 정서적 이정표의 시기는 부분적으로 영아의 대상영속성 수준에 달려있음을 시사한다. 

댓글